출처 : http://kit2013.tistory.com/215




※ 정보보안기사에 나오는 법 종류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법률(줄여서 정보통신망법 또는 망법 / 개인 정보보호, 기타 정보보호에 관한 조항만)

-- 개인정보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2012/08/23) : 걍 참고만

-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 정보통신산업 진흥법

- 전자서명법

- 개인정보보호법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2014-229호)

- 우리나라 법률 정보는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main.html)에서 쉽게 열람가능!! PDF로도 추출가능



2. 정보보호 관련법규(6문제/20문제)

(1)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 기타 정보보호 관련조항에 한정)

1) 용어의 정의

- 정보통신망

- 정보통신서비스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 이용자

- 전자문서

- 개인정보 : 생존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써(성명/주민번호 등), 특정한 개인을 알아볼수 있는 부호/문자/음성 등의 정보

-- 각각 정보 하나하나로 개인을 구분못해도, 다른 정보와 결합해 구분이 가능하면 그것도 개인정보

- 침해사고 : 해킹/바이러스 등으로 정보통신망 또는 관련된 정보시스템을 공격하는 행위

- 정보보호산업

- 전자적 전송매체


2)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 시책

- 미창부장관 또는 방통위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안정적 관리 운영과 이용자의 개인정보보호 등을 통해  정보사회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시책을 마련해야 함

-- 정보통신망에 관련된 기술의 개발/보급

-- 정보통신망 표준화

-- 정보내용물 및 11조에 따른 정보통신망 응용서비스의 개발 등 정보통신망의 이용 활성화

--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수집/처리/보관/이용되는 개인정보 보호 및 그와 관련된 기술의 개발 보급

-- 정보통신망에서의 청소년 보호

-- 정보통신망의 안전성 및 신뢰성 제고

-- 그 밖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 미창부장관과 방통위가 위에 제시한 시책을 만들 때, 국가정보화기본법 제6조에 따른 정보화 기본 계획과 연계되도록해야함


3) 개인정보보호 / 4) 정보통신망의 안정성 확보 / 5) 정보통신망 침해행위

- 개인정보보호법과 유사하지만 차별적인 요소가 있음

- 개인정보수집/이용 및 제공(22조)

--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개인정보 이용을 위해 수집할 때, 알리고 동의받아야 하는 것

---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목적

---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 개인정보의 보유이용기간

--- ※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거부할 권한이 있다는것과 이에 따른 불이익도 알리고 동의받아야해

-- 다음은 동의없이도 수집이용가능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에 관한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개인정보로서 경제적, 기술적은 사유로 통상적인 동의받는게 뚜렷하게 곤란할 때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에 따른 요금정산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 이 법(망법) 또는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 개인정보수집 제한 등(23조)

-- 개인정보수집금지 : 사상/신념/가족 및 친인척관계/학력/병력 등 권리 이익이나 사생활을 뚜렷하게 침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수집 허용 : 이용자의 동의나 다른 법률에 허용된 경우

-- 서비스 거부 : 이용자가 최소한의 개인정보 밖에 안알려줬다고 서비스 거부 안됨

- 주민등록번호 사용제한(23조의 2)

--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수집/이용 불가

--- 본인확인기관

--- 법령에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의 수집/이용을 허용하는 경우

--- 주민등록번호의 수집/이용이 불가피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로서 방통위에서 고시한 경우

-- 주민등록번호를 수집/이용 가능하여도, 대체수단(주민번호말고 따른 인증수단)을 제공해야 함

--- 아이핀 / 공인인증서 / 원타임패스워드(OTP)

- 개인정보 이용제한(24조)

-- 수집한 개인정보를, 동의받지 않은 목적(이용목적)으로 이용해서는 안됨

-- 이용목적이 변경되었을 땐 다시 동의받아야 해

- 개인정보의 제공동의(24조의 2)

-- 개인정보를 제 3자에게 제공할 때, 다음의 내용을 이용자에 알리고 동의받아야 함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의 이용목적

---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취급위탁(25조)

-- 위탁은 걍 하청업체에다가 정보주고 너네 이부분 알아서해시키는거

-- 취급위탁의 경우에도 다음의 내용을 이용자에게 알리고 동의를 받아야 함

---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받는자(수탁자)

---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하는 업무의 내용

-- ※ 망법에서는 취급 위탁시 동의를 받아야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고지만 함

- 개인정보의 양도 양수(26조)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이 영업의 전부나 일부가 양도/합병으로 개인정보를 타인에게 이전하는 경우 다음의 내용을 알려야함

--- 개인정보를 이전하려는 사실

--- 개인정보를 이전받는자의 성명(법인명) / 주소 / 전화번호 및 그 밖의 연락처

--- 개인정보의 이전을 원치않은 경우, 그 동의를 철회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

-- 인터넷 홈페이지의 게시 / 전자우편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이용자에게 알림(바로 아래 시행령에 정의)

-- 양도자가 개인정보의 이전 사실을 알린경우, 양수자는 할 필요는 X

- 개인정보 동의 받는 방법(동법 시행령 12조) : 바로 위의 개인정보 양도 양수할 때 알리는 방법

-- 인터넷 사이트에 게재하고 동의 여부를 표시하도록

-- 동의 내용이 기재된 서면을 이용자에게 직접 교부/우편/모사 전송 → 이용자가 동의 내용에 대해 서명날인 후 제출하도록

-- 동의 내용이 담긴 전자우편 발송해 이용자로부터 동의의 의사표시가 적힌 전자우편 받는 방법

-- 전화를 통해 동의 내용을 알리고 동의 얻기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지정(27조)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은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처리하기 위해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를 지정

--- 예외 : 인터넷으로 사업시 5명 미만 / 전년도 말 기준 직전 3개월 일일평균 이용자 1천명 이하

-- 자격 : 임원 / 개인정보와 관련해 이용자의 고충처리를 담당하는 부서의 장 이 될 수 있음

-- 지정안하면 사업주나 대표자가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공개(27조의 2)

-- 개인정보 취급방침은 인터넷 홈페이지 첫 화면 제일 하단에 '개인정보취급방침'이라고 볼드체, 다른 색상으로 표현

--- 인터넷 홈페이지가 없으면 점포나 사무실에 써 붙이거나 비치

--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내용

---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방법

--- 제 3자에게 제공시, 제공받는 자의 성명(법인명) / 제공받는자의 이용목적 /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파기 방법

---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하는 업무의 내용 및 수탁자

--- 이용자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행사방법

---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 / 개인정보보호 업무를 하는 부서의 명칭과 연락처

- 개인정보 누출 등의 통지 신고(27조 3)

-- 개인정보 털린사실(분실/도난/누출) 알고나면, 지체없이 다음 내용 이용자에게 알리고 방통위나 KISA에 신고

--- 분실/도난/누출이 된 개인정보 항목

--- 분실/도난/누출이 발생한 시점

--- 이용자가 취할 수 있는 조치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의 대응 조치

--- 이용자가 상담 등을 접수할 수 있는 부서 및 연락처

-- 물론, 확인된 내용만 우선적으로 신고/통지하고 이후에 알게 되자마자 바로 신고/통지

--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위의 내용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30일 이상 게시함으로써 대체 가능

-- 천재지변이나 정당한 이유로 홈페이지가 불가능하면, 전국에 보급되는 둘 이상의 일반일간신문에 1회 이상 공고

-- 신고받은 KISA는 방통위에게 즉시 알려야 함

- 개인정보의 보호조치(28조)

-- 다음의 기술적/관리적 보호 조치를 해야 함

--- 내부관리계획수립시행 / 접근통제장치설치운영 / 접속기론위변조방지 / 전송저장 암호화 / 바이러스침해방지 / 기타 안정성 확보

- 개인정보의 파기(29조)

-- 개인정보는 목적을 달성하면 지체없이 복구/재생할 수 없도록 파기

-- 특별한 사유 없을 때, 보유기간은 최소 1년에서 3년

-- 개인정보 파기 통지는 30일전에 개인정보가 파기되는 사실과 언제 파기하는지 알림

--- 우편 / 서면/ 모사전송 / 전화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알려야 함

- 개인정보 이용내역의 통지(30조 2)

-- 다음의 기준을 만족하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은 주기적으로 이용자에게 개인정보 이용내역을 통지해야 함

--- 전년도 말 기준 직전 3개월간 일일평균 100만명 이상

--- 정보통신서비스부분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 통지 내역

--- 수집/이용 목적 및 수집한 개인정보 항목

---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와, 그 제공 목적 및 제공한 개인정보 항목

---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받은자와 그 취급위탁을 하는 업무 내용

-- 통지 횟수 : 연 1회 이상 (우편 / 서면 / 모사전송 / 전화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 손해배상 및 법정 손해배상청구(32조, 32조의 2)

-- 고의/과실에 따른 개인정보 분실/도난/누출의 경우, 이용자가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를 상대로 300만원 이하의 손해배상 청구 가능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고의나 과실 책임이 없음을 입증해야 함

- 정보보호 사전점검(45조 2)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새로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고나 제공하고자 할때, 정보보호와 관련된 사항을 고려해야 해

- 정보보호 최고 책임자의 지정(45조 3)

-- 정보통신시스템 등 보안 및 정보의 안전한 관리르 위해 임원급의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를 지정가능

--- 종업원 수, 이용자 수 등이 기준에 해당하면 필수로 지정하고 미창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함

-- 정보보호 최고책임자의 업무

--- 정보보호관리체계의 수립 및 관리/운영

--- 정보보호 취약점 분석/평가 및 개선

--- 침해사고의 예방 및 대응

--- 사전 정보보호대책 마련 및 보안조치 설계/구현 등

--- 정보보호 사전 보안성 검토

--- 중요 정보의 암호화 및 보안서버 적합성 검토

--- 그 밖의 정보보호를 위해 필요한 조치의 이행

- 정보보호관리체계(ISMS)(47조)

-- 미창부 장관은 ISMS를 수립/운영하고 있는 자에 대해 기준에 적합한지에 관하여 인증을 가능

-- 다음의 경우 중, 하나만 만족해도 무조건 ISMS 인증 받아야 해

--- 정보통신망서비스 제공하는 자

--- 직접정보통신시설 사업자

--- 전년도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 / 전년도 말 기준  직전 3개월간 일일평균 이용자 100만명 이상

-- ISMS 인증의 유효기간은 3년임

-- 미창부장관은 KISA나 미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ISMS 인증기관)에게 인증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음

--- ISMS 인증 심사 수행 기관 : KISA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 개인정보관리체계인증(PIMS)(47조 3)

-- ISMS와는 다르게 아직 의무사항이 아님(권고사항)

-- 이건 방통위가 인증하고, 따로 수행기관을 지정가능해

- 정보보호관리등급(47조 5)

-- ISMS 인증을 부여받은 기관이나 기업은 일괄적인 인증이 아니라, KISA로부터 정보보호 등급을 부여받을 수 있음

-- 미창부장관이 관리등급 부여하는거고, KISA가 대신 수행가능



(2) 정보통신 기반 보호법

1) 용어의 정의

- 정보통신기반시설

- 전자적침해행위

- 침해사고


2)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체계

3)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과 취약점 분석

4)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호 및 침해 사고의 대응

-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3조)

-- 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호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하에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를 둠

--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5인 이내의 의원으로 구성

--- 위원장은 국무조정실장

-- 효율적 운영을 위해, 공공분야와 민간분야를 각각 담당하는 실무 위원회를 둠

-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의 기능(4조)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정책 조정이나 제도개선에 대한 사항과 주요 정책

-- 위원장이 부의하는 사항을 심의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보호대책의 수립(5조)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은 정보통신기반시설보호대책을 수립/시행해야 함

--- 수립/시행의 결과를 관계주요행정기관의 장에게 제출해야 함

-- 관리기관의 장은 정보보호책임자를 지정해야 함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보호대책 이행여부의 확인(5조 2)

-- 미창부장관과 국정원장은 관리기관에 대해 정보통신기반시설보호대책의 이행여부 확인가능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 계획의 수립 등(6조)

--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정보통신기반보호위원회에게 전년도 추진실적과 다음연도 계획을 제출하고 심의받아야 함

--- 취약성 평가분석 / 침해사고 복구대책 / 그 밖의 대책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호지원(7조)

-- 관리기관의 장은 미창부, 국정원장 등에게 정보통신시설의 대책, 침해사고 예방복구 등에 대한 기술지원 가능

--- 국정원장은 금융/정보통신기반시설에 개인정보가 저장된 모든 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지원은 X

---- 국정원도 안되는게 있구나



(3) 정보통신산업 진흥법

1) 지식정보보안컨설팅 전문업체

- 지식정보보안컨설팅 전문업체(33조)

-- 주요 정보통신기반시설의 취약점 분석/평가 업무나 보호대책 수립업무를 신뢰성 있게 수행할수있다고 인정받은 업체

-- 미창부장관이 지정하게 되네

-- 업체지정은 법인으로 한정되고, 3년간의 유효기간이 있음(재지정 받을수있지 당연히)

- 지식정보보안컨설팅 전문업체 결격 사유(34조)

-- 뭐...생략

- 지식정보보안컨설팅 전문업체의 양도/합병 등(35조)

-- 양수인이 자격도 있어야 되고, 미창부장관에게 신고해서 수리 받아야 지식정보보안컨설팅 전문업체의 지위를 승계받음

- 지식정보보안컨설팅 전문업체 휴/폐업, 재개(36조)

-- 휴업/폐업, 재개하려는 날의 30일전까지 미창부장관에게 신고

- 자료의 기록 보존(39조)

-- 주요 통신기반시설의 취약점 분석/평가 업무와 관련하여 작성한 기록 및 자료를 안전하게 보존해야함

--지식정보보안컨설팅 전문업체에서 취소되거나 폐업하면, 주요 통신기반시설의 장에게 자료를 반환하거나 폐기

-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설립(40조)

-- 미창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를 설립가능

--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는 법인으로 함



(4) 전자서명법

1) 용어의 정리

- 전자문서

- 전자서명

- 공인전자서명

- 전자서명생성정보

- 전자서명검증정보

- 인증

- 인증서

- 공인인증서

- 공인인증업무

- 공인인증기관

- 가입자

- 서명자

- 개인정보


2) 전자서명의 효력

- 전자서명의 효력(3조)

-- 공인전자서명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전자서명이 [서명자의 서명, 서명날인 또는 기명날인이고], 당해 전자문서가 전자서명된 후 그 내용이 변경되지 아니하였다고 추정


3) 공인인증기관

- 공인인증기관의 지정(4조)

-- 미창부 장관이 공인인증기관을 지정할 수 있어

-- 공인인증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는 건 국가기관 / 지방자치단체 / 법인에 한해

-- 현재 : 한국정보인증(주), (주)코스콤, 금융결재원, 한국전자인증(주), 한국무역정보통신

- 공인인증업무 준칙(6조)

-- 공인인증기관은 업무 개시전에, 공인인증업무준칙을 작성해 미창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함

--- 인증업무종류 / 인증업무의수행방법및절차 / 공인인증역무의 이용조건 / 기타 인증업무 수행에관하여 필요사항


4) 공인인증서

- 공인인증서 발급(15조)

-- 공인인증서를 발급받고자하는 자의 신원을 확인해야 함

-- 공인인증기관이 발급하는 공인인증서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

--- 가입자의 이름(법인명)

--- 가입자의 전자서명검증정보

--- 가입자와 공인인증기관이 이용하는 전자서명 방식

--- 공인인증서의 일련번호

--- 공인인증서의 유효기관

--- 공인인증기관의 명칭 등 공인인증기관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 공인인증서의 이용범위 또는 용도를 제한하는 경우 이에 관한 사항

--- 가입자가 제 3ㅈ라를 위한 대리권 등을 갖는 경우 또는 직업상 자격 등의 표시를 요청한 경우 이에 관한 사항

--- 공인인증서임을 나타내는 표시

- 공인인증서 효력소멸(17조???)

-- 공인인증서 유효기관이 경과한 경우

-- 공인인증기관의 지정이 취소된 경우

-- 공인인증서의 효력이 정지된 경우

-- 공인인증서가 폐지 된 경우

- 공인인증서의 효력정지(17조)

-- 가입자 또는 대리인의 신청이 있을 경우, 공인인증서의 효력을 정지하거나 정지된 공인인증서의 효력을 회복해야 함

-- 공인인증서 효력 회복의 신청은, 공인인증서 효력이 정지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여야 함


(5) 개인정보보호법

0) 걍 설명

- 2011년 9월 30일 제정되어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일반법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인정보보호법 보다 우선

-- 정보통신망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지 않은 이상,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름(6조)

- 대부분 공공기관과 준용사업자에게 적용되는 법률로, 광범위하게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관련 일반법

- 전반적으로 망법이랑 내용겹치는게 있어(몇 개 더 추가되고 그런거만 있찌..)


1) 용어의 정리

- 개인정보

- 처리

- 정보주체

-개인정보파일

- 개인정보처리자

- 공공기관

- 영상정보처리기기

- ※ 망법이랑 비교하면서 보기


2)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 개인정보 보호위원회(7조)

--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대통령소속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둠

-- 위원장 1명, 상임위원 1명을 포함한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 위원장은 공무원이 아닌사람으로 대통령이 위촉 / 임기 3년(1번 연임가능)

--- 상임위원은 정무직 공무원으로 임명

-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기능(8조)

-- 허허ㅓ..


3)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제공 등 단계별 보호기준

- 개인정보의 수집/이용(15조)

--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 이용을 위해 수집할 때, 알리고 동의받아야 하는 것

---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목적

---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

--- 개인정보의 보유이용기간

--- 개인정보보호법에서는, 거부할 권한이 있다는것과 이에 따른 불이익도 알리고 동의받아야해

---- 이건 망법에 없는내용

- 개인정보 수집 제한(16조)

-- 동의를 받고 개인정보를 수집하더라도 최소한으로 수집해야 함

--- 최소한이라는 걸 입증할 책임도 개인정보처리자에게 있지

- 개인정보제공(17조)

-- 개인정보를 제 3자에게 제공할 때, 다음의 내용을 이용자에 알리고 동의받아야 함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의 이용목적

---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 및 동의거부에 따른 불이익이 있는 경우 그 불이익의 내용

---- 망법에 없는 내용

- 업무위탁에 따른 개인정보의 처리제한(26조) ; 순서는 뒤에있지만 끌어다 왔어

-- 업무위탁시에는 반드시 문서로 해야되고, 위탁계약서에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역할과 책임을 명시해야 함

-- 업무위탁시에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공개해야 함

-- 손해배상책임에서는 수탁자를 위탁자의 소속직원으로 보기에 관리감독 철저히!

-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감독(28조)

--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하여 적절한 관리/감독을 이행해야함

--- 개인정보취급자는 임직원부터 파견근로자, 알바, 인턴까지 개인정보처리자의 지후 감독하에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자 모두

---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

- 개인정보의 이용/제공 제한(18조)

-- 개인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최소한의 제공하고 이용목적의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됨

-- 제 3자 제공시에는 반드시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공개

- 정보주체 이외에서 수집한 개인정보 수집 출저 등 고지(20조)

-- 개인정보 처리자가 정보주체 이외에서 수집한 경우

정보주체의 요구가 있으면 수집출저, 개인정보처리목적, 처리정지를 요구할 권라가 있음을 알려야함

- 개인정보의 파기(21조)

-- 개인정보의 처리목적을 달성하면 지체없이 파기

--- 다른 법령에 보존근거가 있으면 그거에 따라야지

--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않고 보존하는 경우는, 다른 개인정보와 분리하여 저장관리


4) 고유 식별정보 처리제한

- 민감정보처리제한(23조)

-- 사상, 신념, 노동조합, 정당의 가입탈퇴, 정치적견해, 건강, 성생활 등에 관한 정보를 처리 못하게 함

-- 망법보다 더 구체적이고 넓어졌지

- 고유식별정보처리제한(24조)

-- 개인정보처리자는 다음의 경우 제외해고 고유식별정보를 처리 불가

--- 정보주체에게 모든 사항알리고 별도로 동의를 받은경우

--- 법령에서 구체적으로 고유식별정보의 처리를 요구하거나 허용한 경우

-- 공유식별정보 : 주민등록번호 / 여권번호 / 운전자면허번호 / 외국인등록 번호 등

- 주민등록번호의 처리제한(24조의 2)

--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주민등록번호 처리 불가

--- 법령에서 구체적으로 주민등록번호의 처리를 요구하거나 허용한 경우

--- 정보주체나 제 3자의 급박한 생명,신체, 재산의 이익을 위해 명백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 주민등록번호 처리가 불가피한 경우로서 행정자치부령으로 지정하는 경우

-- 개인정보처리자가 불가피하게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했다면, 분실/도난/유출 등을 막기 위해 암호화 조치를 통해 안전하게 보관해야됨

-- 개인정보처리자가 주민등록번호 처리 가능하더라도, 주민등록번호가 아닌 방법으로 가입할 방법 제공해야 됨

- 주민등록번호 유출시 과징금 5억(32조 2)

-- 행정자치부장관은 개인정보처리자가 처리하는 주민등록번호가 분실/도난/유출 등을 당하면 5억원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징수 가능

--- 물론 필요한 조치를 다했다면 그러지 아니하대


5)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 제한

-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설치/운영 제한(25조)

-- 법령에서 허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개된 장소에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설치해서는 안됨

-- 공공기관에서 설치/운영하려면 공청회 거쳐야하고, 이해관계자의 의견은 수렴하는 절차까지만 하면됨

-- 설치할때는 가장 잘 보이는 건물 중앙에 설치

-- 녹음은 해서는 안되

-- 다른용도로 사용하면 X


6) 개인정보 영향평가제도

- 개인정보처리방침의 수립 및 공개(30조)

-- 개인정보처리자는 홈페이지 첫 화면 아래에 개인정보처리방침을 공개해야함

-- 볼드체, 색상을 다르게

-- 홈페이지 없으면 사무실에 잘보이게 비치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지정(31조)

-- 개인정보처리자는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질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해야 함

-- ...하는일들 생략

- 개인정보파일 등록 및 공개(32조)

-- 공공기관의 경우, 개인정보파일에 대한 자세한사항들을 행정자치부장관에게 신고해야함

-- 행정자치부장관은 신고받은 개인정보파일에 대한 자세한 사항들을 누구나 열람가능하도록 공개해야 함

- 개인정보 영향평가(33조)

-- 공공기관은 특정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개인정보영향평가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함

--- 5만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대한 민감정보나 고육식별정보를 처리함

--- 다른 개인정보파일과의 연계할때, 50만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관한 개인정보를 처리

--- 100만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대한 개인정보파일의 처리함

-- 민간은 아직까지 권고사항

-- 공공기관은 영향평가의 결과를 행정자치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함

--- 행정자치부장관이 지정한 평가기관 중에서 의뢰해야 함


7) 개인정보 유출사실의 통지/신고제도

- 개인정보유출통지(34조)

--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정보주체에게 알려야 함


8) 정보주체의 권리보장

- 개인정보의 열람(35조)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처리자에게 자신의 개인정보 열람을 요구할 수 있음

-- 이것도 보여줘야 되는기간이 따로 있어(대통령령)

-- 물론, 개인정보의 열람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등의 영향이 있을것 같으면 제한하거나 거부가능

- 손해배상 책임(39조 2항)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처리자가 법을 윟반한 행위로 손해를 입으면 손해배상 청구가능

--- 개인정보처리자는 고의나 과실이 없음을 입증해야 해야 책임 면함

-- 물론, 개인정보처리자가 의무를 준수하고 최선을 다했다면 감경받을 수있긴해


9)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호의 설치 및 구성(40조)

-- 개인정보에 관한 분쟁의 조정을 위해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를 둠

-- 위원장 1명을 포함한,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그 中 1명은 상임위원)

-- 개인정보와 관련한 분쟁의 조정을 원하는 자는 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을 신청가능

--- 분쟁조정위원회는 해당 내용을 상대방에 알려야 함

--- 공공기관이 경우 별다른 사유업승면 분쟁조정에 응해야 함

-- 분쟁조정을 신청받은 날로부터 60이내에 이를 심사해 조정안을 작성해야 함

--- 물론 의결로 처리기간 연장가능(연잔시 신청자에게 이유와 함께 알려야 함)

-- 조정전에 합의를 권고가능

- 집단조정분쟁조정(49조)

-- 정보주체의 피해 또는 권리침해가 다수의 정보주체에게 같은거나 비슷한 유형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신청가능


(6) 개인정보의 안정성 확보 조치 기준(안행부고시 제2014-229호)

- 내부관리 계획수립.시행(3조)

-- 망법처럼 개인정보보호법에서도 안정성확보 조치를 위해 내부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함

--- 실행가능하고 / 구체적이고 / 맞춤형

-- 물론, 소상공인은 안해도되

- 접근권한 관리(4조)

-- 개인정보 수집시에는 최소화하여 수집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근할 때에도 접근권한을 차등부여하고 최소한의 범위로 설정

-- 접근권한의 부여 기록은 3년간 보관

-- 개인정보 취급자의 사용 계정은 공유해서 사용해서는 안됨

- 접근통제(5조)

-- 정보통신망을 통한 불법적인 접근과 침해사고의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시스템에 설치/운영해야 함

--- 접속권한을 IP주소 등으로 제한하여 접근제어

--- 접속한 IP주소 등을 분석하여 불법적인 개인정보 유출시도 탐지

--- IDS / IPS / Firewall를 말하는것 같음

-- 외부망에서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근시 VPN이나 전용선등 안전한 접속수단 적용해야 함

-- 주민등록번호 이용해 본인인증 외에도 추가 인증수단을 마련해야함

-- 개인정보처리자는 연 1회이상 취약점을 점검해야 함

-- 개인정보취급자가 공개된 무선망을 통해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경우, 보안프로그램이나 SSL, VPN 등을 적용해야함

-- 개인정보처리에 이용되는 모바일 기기의 분실/도난 등을 예비해 비밀번호나, 잠금 기능의 조치를 해야 함

- 개인정보의 암호화(6조)

-- 암호화 대상 : 고유식별정보, 비밀번호 및 바이오정보

--- 비밀번호및 바이오정보는 암호화하여 저장하되, 비밀번호는 일방향 암호화해서 저장(해쉬값)

--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송수신할 떄에도 암호화를 해야함(SSL 등 사용)

- 접속기록의 보관 및 점검(7조)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의 접근 기록은 6개월 이상 보관해야 함

--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하게 보관

-- 반기별로 1회 이상 점검

- 악성프로그램 등 방지(8조)

--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운영

--- 자동 업데이트 기능 사용하거나, 일 1회 이상 엔진 업데이트 해야 됨

--- 악성 프로그램관련 경보가 떳을 때에는, 사용하는 백신의 보안 업데이트 공지가 뜨면 업데이틀 통해 최신상태 유지해야 함

- 물리적 접근 방지(9조)

-- 전산실이나 자료보관실에 개인정보를 보관시에는, 출입통제 절차를 수립/운영해야 함

-- 서류와 보조저장매체는 안전한 곳에 보관

- 개인정보의 파기(10조)

-- 완전파괴 / 전용소자장비를 이용한 삭제 / 복원안되게 포맷 또는 덮어쓰기



Posted by 사라링
BLOG main image
.. by 사라링

카테고리

사라링님의 노트 (301)
JSP (31)
J-Query (41)
JAVA (24)
디자인패턴 (1)
스트러츠 (3)
안드로이드 (11)
오라클 (45)
우분투-오라클 (1)
이클립스메뉴얼 (6)
스프링3.0 (23)
자바스크립트 (10)
HTML5.0 (17)
정보처리기사 (1)
기타(컴퓨터 관련) (1)
문제점 해결 (3)
프로젝트 (2)
AJAX (4)
하이버네이트 (3)
트러스트폼 (11)
Jeus (2)
재무관리(회계) (5)
정규식 (5)
아이바티스 (8)
취미 (2)
소프트웨어 보안 관련모음 (0)
정보보안기사 (6)
C언어 베이직 및 프로그램 (3)
보안 관련 용어 정리 (2)
넥사크로 (6)
웹스퀘어_ (0)
Total :
Today : Yesterday :